Glog

Glog

공지사항

  • 블로그를 시작하는 이유
  • 분류 전체보기 (67)
    • SW Dev Methodology (1)
    • SW Design (1)
    • Message Broker (1)
    • Architecture (3)
      • MSA (2)
    • IT Consulting (1)
      • ISP (1)
    • Internet (1)
    • Middleware (1)
    • Network (6)
      • Network 기본개념 (1)
    • Dev Fundamentals (13)
      • OOP (5)
      • SOLID (7)
    • Softeer (0)
      • Lv.2 (0)
    • 백준 문제풀이 (7)
      • 실버3 (1)
      • 실버4 (1)
      • 실버1 (1)
      • 실버2 (1)
      • 골드5 (1)
      • 골드4 (1)
      • 골드3 (1)
    • DataStructure (3)
      • HashTable (1)
      • Tree (1)
      • Heap (1)
    • Algorithms (2)
      • 복잡도 (1)
      • BFS&DFS (1)
    •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(3)
      • Lv0 (1)
      • Lv1 (1)
      • Lv2 (1)
    •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(1)
      • Java (1)
    • OS (1)
      • Linux (1)
    • Framework (12)
      • Spring (11)
      • FastAPI (1)
    • Language (6)
      • Java (3)
      • vue.js (1)
      • Python (1)
      • JavaScript (1)
    • Database (3)
      • 동시성 제어 (1)
      • NoSQL (0)
      • redis (1)
      • Index (1)
  • 홈
  • 태그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Glog

컨텐츠 검색

태그

이진 탐색 트리 해쉬테이블 #hashTable #자료구조 최대 힙 프로그래밍 #코린이

최근글

댓글

아카이브

DataStructure/Tree(1)

  • 트리(Tree)

    1. 트리 (Tree) 구조 트리 : Node와 Branch를 이용해서,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 실제로 어디에 많이 사용되나? 트리 중 이진 트리(Binary Tree)형태의 구조로, 탐색(검색) 알고리즘 구현을 위해 많이 사용됨 2. 알아둘 용어 Node :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(데이터와 다른 연결된 노드에 대한 Branch 정보 포함) Root Node : 트리 맨 위에 있는 노드 Level : 최상위 노드를 Level 0으로 하였을 때, 하위 Branch로 연결된 노드의 깊이를 나타냄 Parent Node : 어떤 노드의 다음 레벨에 연결된 노드 Child Node : 어떤 노드의 상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Leaf Node : (Terminal Node) : ..

    2023.01.23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